함께하는 좋은세상 좋은인연

인연을소중히

農관련자료종합▼▲/당근관련종합

당근 병해충관련종합

찬성장(장고) 2008. 4. 22. 11:01

 

 


1.당근 바이러스

모자이크 병징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는
셀러리모자이크바이러스(CeMV)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두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CeMV에 의한 모자이크병은
녹색의 농담(濃淡) 모자이크 증상을 보이며
심하면 복엽전체가 퇴록이 되며
여기저기에 녹색부가 남아 있게 된다.
생육이 진전되면 자색으로 띠는 경향이 있으며
모자이크 증상이 있는 잎은 침엽상으로 되는 수도 있다.
CMV에 의한 모자이크병은
복엽의 녹색농담모자이크 증상과
사엽상(擡葉狀)이 있다.
또 포기 전체가 약간의 퇴록을 보이고
복엽이 약간 가늘어지고 비틀어져 보이는 수도 있다.
두 가지 바이러스는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성 전염을 하며
진딧물 발생이 많을 때 병발생이 많다.
대책으로는 은색멀칭 등에 의한 진딧물 비래 방지와
포장주변을 청결히 하여 전염원을 줄이고
인접 포장에 연속 당근재배를 가능한 피하고
진딧물 구제를 철저히 한다.

 

 방제법
진딧물이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므로 진딧물 구제를 철저히 하고
전작물의 이병 잔재물을 제거하거나
파종시기나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이 되는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하고 이병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모자이크병 Mosaic

당근 모자이크 병(잎)

발생환경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의 진딧물이 옮기며,

비영속형 전염을 한다.
또한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부위가 접촉될 때도 전염이 된다.
획득 흡즙시간은 30초이며,

진딧물의 보독기간은 5시간이고,

1시간 정도 지나면 50%이하로

전염율(傳染率)이 떨어진다.

증상
새로 나온 잎에서 황색 모자이크 및

고사리잎(細葉)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2.검은무늬병 黑斑病 Black spot, Black rot 

당근 검은무늬병 뿌리(뿌리)당근 검은무늬병 잎자루 증상(잎)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와 감염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발아하여 전염원이 된다.
일반적으로 종자전염에 의한 병 발생이 많고,

지상부보다는 지하부에서의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
주로 잎자루와 뿌리에서 발생한다.
잎자루에서는 뿌리 상부의 지제부에서부터 검게 변하여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뿌리에서는 부정형의 검은 병반이 멍든 것처럼 보이고,

진전되면 확대되어 속까지 검게 변하여 썩으며,

공동(空洞)이 생기기도 한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중에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균형시비를 한다.
- 병 발생 초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3.흰가루병 白粉病 Powdery mildew

당근 흰가루병(잎)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된다.
전국 어디에서나 발생되며, 생육 후기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과 잎자루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잎의 표면에 하얀 균사가 점점이 분산되어 나타나며,

심하면 잎 전체가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은 증상으로 나타난다.
심한 포장은 아래 잎이 황화되고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 발생 초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4.당근 검은잎마름병 黑葉枯病 Leaf blight

당근 검은잎마름병(잎)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와 병든 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여름과 가을에 걸쳐서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
잎과 잎자루에 발생한다.
잎에 처음에는 갈색 내지 암갈색,

부정형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들이 서로 융합하여 커진다.
후에 감염된 잎은 암갈색 내지 흑색으로 변하며 말라죽는다.
잎자루에서는 부정형의 긴 반점으로 나타나며,

감염된 잎자루는 퇴색되어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사용하거나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중에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균형시비를 한다.
- 병 발생 초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5.관부썩음병 冠部腐敗病 Crown rot

당근 관부썩음병(기타)

발생환경
병원균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AG-2-2(IV)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겨울을 지난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유묘기에는 잘록증상으로 나타나고,
생육 초기부터 후기까지는 관부가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감염된 관부는 암갈색 내지 흑색으로 변해 썩고,
진전되면 잎자루의 위쪽으로 썩어 올라가며,
뿌리 아래쪽으로도 썩어 내려간다.
병든 식물체는 지상부가 시들고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이 발생한 포장은 비기주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 병든 식물체는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제거한다.
- 질소비료의 지나친 사용(過用)을 피한다.
- 시설하우스 재배 시 내부가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6.균핵병  菌核病 Sclerotinia rot

당근 균핵병(뿌리)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혹은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주로 관부(冠部)에서부터 감염이 일어나며,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물러 썩으며,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진전되면 병반이 잎자루와
뿌리 아래쪽으로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썩게 된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低溫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정식 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담수(湛水)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7.마른썩음병   乾腐病 Fusarium dry rot

당근 마른썩음병(뿌리)당근 마른썩음병 병든 지상부(잎)


발생환경
토양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에 존재하며, 생육기와 저장 중에 발생한다.
저온저장 시는 3개월이 지나야 외부로 병 증상이 나타나지만 15~22℃에서는 2~3주 후에 병징이 나타난다.
종자전염도 가능하지만 병원균은 버려진 병든 식물체내 혹은 토양에서 겨울을 난다.
포장에서는 7℃이상이면 병원균이 식물을 가해할 수 있고, 25℃이하에서는 발병이 잘 되지 않는다.

 

증상
땅가부위의 관부에도 발생하지만 주로 뿌리에 발생한다.
뿌리의 한쪽에 궤양증상을 일으키는데 연한 갈색 혹은 검은색으로 썩고, 불에 데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병든 조직은 미이라처럼 마르고, 단단하다.

 

방제방법
- 연작을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 석회시용으로 토양산도를 6.5~7.0으로 조절하고,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재배를 피한다.
- 토양선충이나 곤충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한다.
- 가축분 등 미숙퇴비 사용을 피하고 다비에 의한 염류집적으로 작물의 잔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 답전윤환하거나 토양을 한 달 이상 담수하면 토양중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고 토양 환경을 다소 개선할 수 있다.

 

8.무름병  軟腐病   Soft rot

당근 무름병 뿌리 내부(뿌리)당근 무름병 병든 뿌리(뿌리)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
전 생육기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뿌리의 상부에 수침상의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뿌리 아래쪽으로 썩어 내려간다.
병든 뿌리는 전체가 물러 썩고, 악취가 난다.

 

방제방법
- 벼과나 콩과 작물로 돌려짓기한다.
- 이 병원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잘되는 밭을 선택한다.

 

9.점무늬병  斑點病 Leaf spot

당근 점무늬병 잎자루 증상(잎)당근 점무늬병 잎의 증상(잎)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체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한다.
병원균의 침입은 주로 기공(氣孔)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로 생육 후기에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비료가 부족하고 기온이 높으며,
건조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많이 발생한다.

 

증상
잎과 잎자루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적갈색 내지 암갈색의 원형
혹은 타원형 반점으로 나타나고,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띤다.
진전되면 병반이 방추형 혹은 부정형으로 약간 확대된다.
병든 잎은 전체적으로 황색을 띄다가 후에 회갈색으로 변해 말라죽는다.
잎자루에서는 긴 타원형 내지 방추형의 암갈색 반점을 형성한다.
병이 심하게 걸린 그루는
아래쪽 잎부터 황색으로 변하면서 잘 떨어지기도 한다.

방제방법
- 고온 시 비료가 부족하면 많이 발생하므로 비배관리(肥培管理)에 유의한다.
- 병 발생 초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병충해 종류 및 방제

병충명

증상

원인

대책

검은잎마름병

- 흑갈색 부정반점 - 흑색 둥근 곰팡이 -

잎 가장자리 위로 말림

- 고온 다습 - 지력이 낮거나

초세 약할때

- 균형 시비관리 -

적정 초세유지

검은무늬병

- 저장 중 많이 발생 - 검은잎마름병 유사 -

적갈색 및 갈생 병반

- 고온다습 -

저장 뿌리 발생

- 수확시 상처 주의 -

수확 후 큐어링

점무늬병

- 잎에 황색-적갈색반점 -

병반이 약간 움푹

- 연작지 많이 발생 -

비료부족, 건조

- 초세유지 -

약제 살포

무름병

- 담갈색 및 회백색 -

조직 연화 및 부패 - 심한 악취

- 고온 다습 - 곤충, 선충,

침수 등 상처 통해 감염

- 수송 중 많이 발생 -

무병지재배-상처발생억제

황화병

- 심한 왜화증상 - 붉은색의 황색 빛깔

- 진딧물 전파 -

종자 및 토양전염

- 진딧물 방제 철저

흰가루병

- 잎 표면에 흰색 균사 -

심하면 황화 후 고사

- 고온 건조 -

생육후기 많이 발생

- 균형시비 - 약제 발제

뿌리썩음병

- 잎가장자리 붉은색 -

뿌리가 공동이고 갈변 되어 고사함

- 연작지 많이 발생 -

고온 다습

- 무병지 재배 - 토양소독

선 충

- 뿌리 혹 발생 - 잔뿌리 많이 발생

- 당근 뿌리혹 선충 -

고구마 뿌리혹 선충

- 훈증처리 -

토양살충제 살포 - 윤작

아메리카

굴파리

- 흰색의 구불구불한 식흔 -

유충은 굴을 파며 가해

- 성충은 회색, 유충은 회백색 -

크기 2-2.5mm

- 유기인제 5~7일

간격 살포

 

 

당근유형별병해충관련종합 ↓아래상호클릭참조하세요~!